-
Postel's lawUX/10 UX-UI Laws 2021. 6. 10. 13:13
Postel's law
혹시, 설문조사를 해보신적이 있으신가요? 설문조사를 직접 문항을 만들어 사람들에게 전달하여 입력을 받아보면, 정말 다양한 답변들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때 숫자를 입력해야하는 입력 폼에 사용자들은 항상 숫자만 입력할까요? 예를들어 당신이 좋아하는 숫자는 무엇인가요? 라는 질문에 어떤사람은 숫자 7을, 아니면 칠, 일곱, seven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을 할 수 있습니다.
포스텔의 법칙은 이러한 사용자의 답변이나, 입력하는 값에 대해 너그럽게 받아들여야 하지만, 정작 자신이 행하는 일 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입력폼의 값을 숫자로 지정해주는 일에 대해 엄격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. 위와 같은 상황에서 입력폼을 숫자로 변경 하였다면, 칠, 일곱, seven 등과 같은 값은 입력하지 않아, 유저가 더 빨리 입력폼을 채울 수 있었을 것입니다.
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결국 사용자의 다양하고 예측불가능한 변수들을 고려한 IT 제품을 만들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.
사례
지문 / 얼굴인식 로그인
포스텔의 법칙이 잘 적용된 사례는 핸드폰의 지문 로그인, 또는 얼굴인 식 로그인일 것입니다. 얼굴인식 과정에서 다양한 각도에서 다양한 얼굴의 모습을 보일 수 있는데, 얼굴인식 로그인은 이러한 모든 값을 기억한 뒤 맞다고 판단되어 로그인 되는 방식으로 매우 편하고, 포스텔의 법칙이 잘 적용된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.
'UX > 10 UX-UI L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eak End Rule (0) 2021.06.21 Miller's Law (0) 2021.05.29 Hick's Law (0) 2021.05.26 Fitts' Law (0) 2021.05.25 Jakob’s Law (0) 2021.05.25